pring WebFlux의 WebClient는 기존의 RestTemplate보다 훨씬 강력하고 유연한 HTTP 클라이언트입니다.
특히 비동기/논블로킹 I/O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대규모 API 호출 처리,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고성능 서버에 적합합니다.
✅ WebClient 주요 장점 요약
💡 비동기 / 논블로킹 | Mono, Flux 기반으로 리액티브 스트림 처리 가능. 적은 리소스로 많은 동시 요청 처리 |
🧵 스레드 효율 극대화 | 동기 방식보다 훨씬 적은 스레드로 높은 처리량 유지 가능 |
🌐 RESTful API 호출 최적화 | GET/POST/PUT/DELETE 등 모든 메서드 지원. 유연한 요청 구성 |
🔗 함수형 체이닝 | .get().uri().retrieve().bodyToMono() 등 간결하고 직관적 |
🔐 OAuth2, Bearer 등 인증 용이 | 인증 헤더, 토큰 주입 등 손쉬움 (filter, mutate) |
🛡️ 타임아웃 / 재시도 / fallback 설정 용이 | Resilience4j 등과 궁합 좋음 |
📦 백프레셔(Backpressure) | 소비량 제어 가능 → 부하 조절에 유리 |
🔁 스케줄/폴링/Streaming API 지원 | SSE, WebSocket, Kafka REST 등과 쉽게 연동 가능 |
🧪 테스트 용이 | MockWebServer 또는 WebClient.Builder로 쉽게 테스트 가능 |
📊 WebClient vs RestTemplate
항목 | WebClient | RestTemplate |
처리 방식 | 비동기/논블로킹 | 동기/블로킹 |
성능 | 고성능, 고동시성에 유리 | 스레드당 1요청 |
사용성 | 함수형, 유연 | 단순하지만 유연성 낮음 |
미래성 | ✅ Spring 공식 권장 | 🚫 Deprecated 예정 (RestTemplate) |
✅ Spring 공식 문서에서는 WebClient를 새로운 HTTP 클라이언트로 권장하고 있으며,
RestTemplate은 향후 유지보수만 되고 기능 추가는 중단되었습니다.
💡 실무 사용 예시: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
WebClient.create("https://user-service")
.get()
.uri("/users/{id}", userId)
.retrieve()
.bodyToMono(UserDto.class)
.timeout(Duration.ofSeconds(3))
.retry(2)
.subscribe(user -> log.info("사용자 정보: {}", user));
🚀 언제 WebClient를 써야 하나요?
다량의 외부 API 호출 | ✅ 매우 적합 |
비동기 스트리밍 필요 | ✅ 매우 적합 (ex: SSE, WebSocket) |
단순 API 1~2건 | RestTemplate도 가능하지만 WebClient로 전환 권장 |
마이크로서비스 통신 | ✅ WebClient + Resilience4j + Retry 매우 효과적 |
🧠 결론
WebClient는 비동기, 고성능, 미래 지향적 HTTP 클라이언트이며,
특히 타사 API 연동,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Calendar API에 일정(Event)을 추가(POST) (1) | 2025.06.16 |
---|---|
Spring WebClient기반 Google OAuth2 인증 (0) | 2025.06.16 |
Spring WebFlux의 WebClient 기반의 CircuitBreaker 및 Retry 기능을 적용한 실무 예제 (1) | 2025.06.16 |
RetryTemplate 과 CircuitBreaker (0) | 2025.06.16 |
G1 GC 관리 항목별 Default 값 및 권장 설정 (1)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