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17과 Java 21의 주요 기술 차이인 GC Pause 감소, Structured Concurrency, Pattern Matching, AOT/Native는 Virtual Thread, WebClient, 그리고 동시성 구조에 직접적인 성능/코드 구조/안정성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WebClient vs VirtualThread+HttpClient 구조의 차이도 마지막에 상세히 설명드릴게요.
☕ Java 17 vs Java 21 주요 차이: 실제 적용 관점
기능 | Java 17 | Java 21 | WebFlux/VirtualThread 영향 |
GC 개선 | G1 개선 수준 | ZGC + Generational ZGC 지원 | GC Pause 대폭 감소 → WebClient & Kafka 안정성 향상 |
Structured Concurrency | ❌ 미지원 | ✅ StructuredTaskScope 도입 | VirtualThread 구조에서 명시적 부모-자식 관리 가능 |
Pattern Matching | instanceof 단순 개선 | ✅ switch 패턴 완성형 | WebClient 응답 가공, DTO 파싱 가독성 향상 |
AOT/Native 지원 | 제한적 | ✅ GraalVM 공식 대응 (Spring Boot 3.2+) | WebFlux 기반 Native Image로 빌드 가능 (용량 ↓, 속도 ↑) |
✅ 예시: Structured Concurrency
try (var scope = new StructuredTaskScope.ShutdownOnFailure()) {
Future<String> page1 = scope.fork(() -> fetch("https://a.com"));
Future<String> page2 = scope.fork(() -> fetch("https://b.com"));
scope.join(); // 모든 작업 대기
scope.throwIfFailed(); // 하나라도 실패 시 예외 발생
return page1.result() + page2.result();
}
🔽
- WebClient + Mono.zip 대체 가능
- VirtualThread 기반에서 병렬 태스크 제어 최적화
☑ AOT vs Native Build 차이
항목 | AOT (Ahead-of-Time) | Native (GraalVM) |
적용 방식 | Java → Class → 최적화 | Java → Native 바이너리 |
속도 | 10~30% 향상 | 수 초 내 시작, RAM ↓ |
용량 | 보통 JAR 수준 | 매우 작음 (MB 단위) |
제한 사항 | Dynamic Proxy 일부 제한 | Reflection, Netty 등 config 필요 |
WebClient 사용 | ✅ 가능 | ✅ but 구성 복잡 (URL encoding 등 문제 있음) |
⚔️ WebClient vs VirtualThread + HttpClient 차이
항목 | WebClient (Reactor 기반) | VirtualThread + HttpClient |
구조 | Non-blocking (event loop) | Blocking but lightweight |
코드 스타일 | Reactive (flatMap/zip 등) | 동기식 (가독성 우수) |
학습 난이도 | 높음 (Reactor 필수) | 낮음 (Java 코드 그대로) |
VirtualThread 최적화 | ❌ 불필요 (이미 논블로킹) | ✅ 매우 적합 |
성능 | 고성능, 확장성 우수 | 적은 수로도 수천 요청 처리 가능 |
최적 활용 | 스트리밍, SSE, WebSocket | REST API, 내부 호출, Kafka Hook |
🔍 결론:
- WebClient는 WebFlux 기반 API 서버나 SSE 등 고성능 IO 처리용으로 계속 유효
- VirtualThread + HttpClient는 단순한 병렬 REST 호출, 외부 API 요청, Kafka Consumer 등에서 매우 강력
🧠 실전 추천 조합
요구사항 | 추천 조합 |
고속 API 서버 (Reactive 기반) | WebFlux + WebClient + Java 17/21 |
Kafka + Redis 연동 MSA | Spring + VirtualThread + Java 21 |
Native Image 기반 경량 앱 | Spring Boot 3.2 + AOT + Java 21 |
대량 외부 API 호출 | VirtualThread + StructuredTaskScop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 리얼타임 시스템이란? (3) | 2025.06.19 |
---|---|
Native Build란? (2) | 2025.06.19 |
Java Virtual Thread vs 기존 ThreadPool 구조 비교 (1) | 2025.06.19 |
자바 버전별 비교표 (Spring Boot 3.x.x 관점) (0) | 2025.06.19 |
Kafka Dead Letter 처리 구조란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