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Basic

HTTP 응답의 매커니즘

마시멜로를찾아서 2023. 7. 25. 09:07
반응형

HTT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예: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규칙과 규약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는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HTTP 응답을 반환하여 이러한 요청에 응답합니다. 파일 다운로드는 이러한 HTTP 응답의 일부로 처리됩니다.

파일 다운로드 매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순서(8가지)로 동작합니다:

1. 클라이언트(브라우저)는 HTTP 요청을 생성하여 서버에 보냅니다. 이 요청은 특정 URL에 대한 것이며,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제공하는 URL을 호출합니다.

2. 서버는 요청을 받고 요청에 맞는 처리를 수행합니다. 엑셀 파일을 생성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 후, 이 파일의 내용을 HTTP 응답으로 보내기 위해 데이터를 준비합니다.

3. 서버는 HTTP 응답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로 보냅니다. 이 때 HTTP 응답은 상태 코드, 헤더(Headers), 그리고 바디(Body)로 구성됩니다.

4. 클라이언트(브라우저)는 HTTP 응답을 받아서 처리합니다. 상태 코드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5. 바디(Body)에는 서버가 보낸 데이터가 들어있습니다. 파일 다운로드의 경우, 엑셀 파일의 데이터가 바디에 들어가게 됩니다.

6. 브라우저는 HTTP 응답의 Content-Type 헤더를 확인하여 파일 다운로드가 필요한지 판단합니다.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려면 Content-Type이 "application/vnd.ms-excel" 또는 "application/vnd.openxmlformats-officedocument.spreadsheetml.sheet"와 같은 엑셀 파일 형식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7. 브라우저가 Content-Type과 함께 파일의 이름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Content-Disposition 헤더도 확인합니다. 이 헤더에는 파일의 이름과 함께 "attachment"라는 값이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로 인해 브라우저는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인식합니다.

8. 브라우저는 파일 다운로드를 시작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해당 파일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됩니다.

요약하면, 파일 다운로드 매커니즘은 HTTP 응답을 통해 엑셀 파일과 파일의 MIME 타입(Content-Type)을 브라우저에게 전달하고, 브라우저는 이 정보를 활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서버에서 생성된 파일을 클라이언트(브라우저)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